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옛 그림 속 우리 생물
기간/ 2013.11.26(화) ~ 2014.03.09(일)
장소/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 중앙홀

경기도박물관(관장 이원복)은 오는 11월 26일부터 2014년 3월 9일까지 국립생물자원관과 함께 “옛 그림 속 우리 생물” 특별전을 개최한다. 조상들은 주변의 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통해 자연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표현했을 뿐 아니라, 동식물 속에 담긴 특별한 상징과 자연의 조화를 표현하기도 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동식물이 그려진 그림인 ‘화조영모화(花鳥翎毛畵)’에 속하는 작품들을 표본과 모형을 통해 입체적으로 재현하고, 그 의미를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전시는 크게 ‘풀과 벌레(草蟲)’, ‘물고기(魚蟹)’, ‘짐승(翎毛)’, ‘꽃과 새(花鳥)’의 4부로 구성된다. 1부 풀과 벌레(草蟲)에서는 풀과 벌레가 그려진 초충도(草蟲圖)가 전시된다. 초충도에는 여뀌, 원추리, 모란, 맨드라미 등의 식물과 나비, 메뚜기, 잠자리, 매미 등의 곤충이 등장한다. 2부 물고기(魚蟹)에서는 물고기와 게가 노니는 어해도(魚蟹圖)가 전시된다. 물고기 그림은 선사시대 암각화에 등장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처음에는 물고기가 자유롭게 노니는 모습을 그리다가, 점차 과거급제나 다산(多産)처럼 복을 바라는 마음까지 담아냈다. 3부 짐승(翎毛)에서는 우리 곁의 친숙한 동물인 길짐승과 날짐승을 그린 영모도(翎毛圖)가 전시된다. 영모(翎毛)는 깃털 달린 새[翎]와 털이 난 짐승[毛]을 말한다. 하지만 화조도가 새 그림을 포괄하게 되면서 영모도는 길짐승 그림을 의미하게 되었다. 마지막 4부 꽃과 새(花鳥)에서는 꽃과 나무 그리고 새들이 어우러진 화조도(花鳥圖)가 전시된다. 진귀하고 상서로운 새들은 그림으로 그려져 감상되었는데, 주로 꽃이 핀 나뭇가지에 앉아있는 새를 그렸다. 어떤 새들은 독특한 생김새와 습성 때문에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받고 화폭에 담겼다.

주요프로그램
교육, 체험프로그램

1. 너는 누구니?

  • 내용: 전시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체험지를 직접 작성해보는 자기주도형 프로그램
  • 기간: 전시기간 중 상시
  • 장소: 경기도박물관 중앙홀
  • 대상: 초등학생

2. 비밀의 화원

  • 주제: 옛 그림에 나오는 생물의 이해
  • 내용: 전시에 나오는 생물들이 갖는 상징과 의미를 알아보는 프로그램으로 특히 십이지 동물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교육함. 나와 우리 가족, 혹은 나와 친구들이 갖는 띠별 동물이 주인공이 되어 우리들만의 화원을 꾸미는 내용.
  • 기간: 겨울방학 중
  • 장소: 경기도박물관 회의실
  • 대상: 초등학생 3~6학년
학술강연회
  • 일시: 2014년 2월 15일(토) 오후 2시~4시
  • 장소: 경기도박물관 회의실
  • 제목: 옛 그림 속 동식물(이원복 경기도박물관장)
주요전시유물
주요전시품입니다.

신사임당-가지와 방아깨비_1000

초충도(草蟲圖) 중 가지와 방아깨비
신사임당/ 16세기

신사임당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이 초충도는 전체적으로 식물들을 화면 가운데에 배치하고 그 주변에 곤충들을 그려 넣어 고운 채색과 연한 먹으로 표현했다. 여백을 활용한 시원하고 맑은 한국 초충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뛰어오르는 잉어[躍鯉]

뛰어오르는 잉어[躍鯉]
작가․연대미상

이 그림은 잉어가 물 위로 펄쩍 뛰어오르는 등용문 설화를 묘사한 것이다. 화면 중심에 거대한 잉어를 단독으로 배치한 뒤 그 주위를 물결로 가득 채웠다. 이제 막 뛰어오르는 잉어 지느러미의 과장된 표현, 어두운 잉어 머리와 하얀색 물거품 대비가 눈길을 끈다. 잉어가 뛰어오르는 그림은 인기가 많아 민화에서도 자주 그려졌다. 이는 용으로 변한 잉어가 출세한 사람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분청사기조화어문병

분청사기조화어문병
15~16세기

외반된 구연과 저부에 중심이 잡힌 동부와 다소 좁은 굽을 가진 분청사기 병이다. 전체적으로 두텁게 백토분장 한 위에 시문구로 어깨 부분과 몸체 부분에 물고기 문양을 그렸다. 물고기 문양은 모든 분청조화문과 같이 매우 간략하고 활달하게 표현되어있다.

여러 가지 동물들[翎毛圖]

여러 가지 동물들[翎毛圖]
조석진 /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석진은 조선시대 마지막 화원이다. 이 그림은 10첩으로 제작된 병풍 그림이다. 사슴·원앙·닭·매·학은 화조영모화에서 전통적으로 그려졌던 소재였으나 단독으로 그려진 사자, 비전통적인 소의 모습에서 근대 회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호랑이와 사슴이 그려진 화각함

호랑이와 사슴이 그려진 화각함
19세기

화각 자식을 한 함으로 호랑이 사슴 등의 동물과 새, 나무, 꽃 등의 문양을 다채롭게 배열하였다. 뚜껑은 네 부분으로 구획하여 장식되어 있고, 몸체는 열 두 부분으로 구획하여 문양을 넣었다. 내부에는 종이를 발랐고 뚜껑받이가 있으며, 네 모서리의 각을 그대로 살렸다.

목련과 공작[木蓮孔雀]

목련과 공작[木蓮孔雀]
전(傳) 이영윤 / 16~17세기

왕의 종친인 이영윤의 작품으로 전하는 8첩 병풍 그림 중 한 폭이다. 그림 위쪽에는 매화 가지에 앉은 밀화부리 한 쌍과 목련을 배치하고, 아래쪽에는 공작과 민들레를 그려 넣었다. 공작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던 새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림 소재로 사용된 예가 매우 드물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특별전시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