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경기명가 기증유물 특별전 : 천 년의 뿌리, 용인이씨
기간/ 2013.03.27(수) ~ 2013.06.16(일)
장소/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
천년의뿌리,용인이씨 포스터

경기도박물관은 2014년 ‘경기’ 명칭 천년을 맞아 경기도의 뿌리 찾기를 위한 작업의 하나로 2013년 첫 번째 특별전시회《경기명가(京畿名家) 기증유물 특별전 : 천년의 뿌리, 용인이씨》를 개최한다.

경기도에는 수원․광주․죽산․양주 등 곳곳에 그곳을 본관으로 하는 오래된 명문가들이 있다. 용인 역시 용인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가 있는데, 용인이씨(龍仁李氏)는 고려 초부터 1000년을 넘게 전통을 이어온 명문가이다. 용인이씨는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의 건국에 공을 세운 개국공신인 이길권(李吉卷)을 시조로 하는 토착성씨이다. 조선시대에는 수많은 정승과 판서, 경기도관찰사 등을 배출하였는데, 특히 11명의 경기관찰사를 배출하여 경기도의 역사와 전통을 대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09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명문가의 후손답게 용인이씨 후손들이 집안에서 소중하게 보존해 왔던 875점의 유물을 경기도박물관에 기증한 것을 인연으로 시작되었다. 용인이씨 부사공파의 판관공 종손인 이태한 선생과 형제인 이경한·이봉한 선생, 그리고 충정공파 종회의 종손인 이홍규 선생이 그들이다. 특히 이 자료들에서는 조선후기에 경기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사대부들인 ‘경화사족(京華士族)의 역사와 문화를 자세하게 들여다 볼 수 있다. 조상의 손때가 가득한 소중한 유물의 기증은 이를 다루는 현재의 우리들에게도 크나큰 영예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사회문화에 영원히 기여하는 큰 의미를 가진다.

이번 전시의 구성은 총 3부로 구성되었다.

  • 1부, <고려부터 이어진 뿌리 깊은 가문> 은 경기도의 대표적인 명문가인 용인이씨를 소개하는 코너이다. 고려의 개국공신인 시조 이길권(李吉卷)이 용인에 토착성씨(土姓)로 자리하면서부터 조선시대 명문가로 성장하는 문중에 대해 이야기 한다.
  • 2부, <유물에 담긴 명문가의 정신> 은 2009․2011년 두 차례에 걸쳐 기증받은 유물을 중심으로 명문가로서 용인이씨의 정신을 추적한다. 구성은 1) “일인지하(一人地下) 만인지상(萬人之上)의 자리에 오르다”, 2) “가히 대성(大姓)의 집안이로다”, 3) “최전방에서 나라를 지키다”, 4) “그림을 남기다”로 이루어졌다.
  • 3부, <전통을 계승하다> 는 용인이씨 종중에서 19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보관하고 있는 민속 유물과 문중 활동을 담은 자료들을 소개한다. 후손들이 어떻게 명문가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주요프로그램
교육체험프로그램 운영
교육체험프로그램 운영이 프로그램명, 일시 및 장소로 구성된 표입니다
프로그램명일시 및 장소
내 이름으로 교지 만들기 – 전시기간 중
(경기도박물관 중앙홀)
영의정과 함께 하는 포토존
이일 장군의 여진족 토벌 작전(퍼즐 맞추기)
승경도 놀이
엄마는 큐레이터(전시 기간 중 접수)

 

학술강연회
  • 일 시 : 2013년 4월 23일(화), 오후 2시
  • 장 소 : 경기도박물관 강당
  • 주 제 : 조선시대 경기도 경화사족(京華士族) 고찰-토성(土姓) 출신의 용인이씨(龍仁李氏)를 중심으로
  • 강 사 : 이원명(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주요전시유물
주요전시유물 사진입니다.
이세백 초상(관복본)
이세백 초상(관복본)
충정공 이세백의 초상.높은 사모, 호피받침, 돗자리,
명암 표현 등으로 볼 때 18세기 전형적인 초상화로
쌍학흉배와 서대를 하고 있음.
오른쪽에 ‘충정공(忠正公) 우사(雩沙) 부군(府君)
유상(遺像)’이라고 쓰여 있음.
이의현 초상(시복본)
 이의현 초상(시복본)
2.5m로 시복을 입은 이의현의 전신 초상화.높은 사모,
호피받침, 돗자리, 명암표현 등의 특징이 나타나 있어
18세기에 그려진 초상임을 알 수 있음.
이돈상 초상화 밑그림
이돈상 초상화 밑그림
초상화 제작과정 중 한 단계인 상초묵화(上綃墨畵)를
보여주는 작품. 초본을 밑에 깔고 그 위에 얇은 비단(綃)를
놓고 본을 뜨는 단계. 상초과정을 보여주는 현존하는
유일한 작품
이재학의 행서 8폭병풍
이재학의 행서 8폭병풍
조선후기 판서와 경기관찰사를 지낸 이재학의
행서(行書) 필체가 있는 8폭 병풍. 영․정조 때의 문예부흥과 서체반정(書體反正)이 진행되었음을 알려주는
대표 작품. 선비 예술인 이재학의 수작으로 최초 공개됨.
이규현의 교지를 모은 책, 판서부관관교
이규현의 교지를 모은 책, 판서부관관교
경기관찰사, 한성부판윤을 지낸 이규현의 교지를 모은 책. 1813년~1844년까지 30년 동안 180점의 교지가 시대
순서로 정리되어 있음.
파초, 초엽제시도
파초, 초엽제시도
조선후기의 화원화가인 이재관이 그린 대표작 중 하나.
파초는 등장인물의 인격과 우아한 주거환경을 은유함.
18∼19세기 지식인들에게 원예가 문화로 형성되어
그림으로도 유행함
이일 장군의 여진족 토벌 전투그림,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이일 장군의 여진족 토벌 전투그림,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장양공 이일 장군이 16세기 후반 여진족을 토벌하며
공을 세운 내용을 19세기에 후손인 화가 이재관이 그린
전투그림임. 현존하는 전투그림이 매우 적어 희귀성이
있음.
이재학 시호 교지
이재학 시호 교지
경기관찰사와 5판서를 지낸 이재학(1745~1806)이
죽은 지 15년 후인 1820년 나라에서 ‘익헌공’이란 시호를
받은 교지. 붉은 색 종이 바탕에 순금을 뿌려 장식한 교지로
매우 희귀함.
세자를 모신 일기, 서연일기
세자를 모신 일기, 서연일기
이규현(1777~1844)이 1816년(순조 16) 2월 11일부터 1819년 3월 16일까지 순조의 세자인 효명을 동궁에서
모시면서 쓴 일기. 이때 이규현은 왕세자의 관례(冠禮)를
마무리 하였음.
경기관찰사 이규현에게 보내는 왕의 명령서, 유서
경기관찰사 이규현에게 보내는 왕의 명령서, 유서
헌종 6년(1840) 4월 4일 이규현을 경기관찰사로
임명하면서 병부兵符 제11부를 내리는 명령서이다.
국왕의 선물 목록, 하선장
국왕의 선물 목록, 하선장
하선장은 봉급 이외에 국왕이 신하에게 생선, 인삼,
땔나무 등을 선물로 내리는 것임. 큰 것이 아니었지만,
이를 받는 신하는 매우 큰 영광으로 여김. 이것은
이재학과 이규현에게 내린 것임
이돈상 문과급제교지
이돈상 문과급제교지
이돈상(1815~1884)이 종5품인 판관으로 있으면서 고종
1년(1864) 증광별시문과에서 갑과 제2인으로 급제한
교지임. 문과급제 교지는 붉은 색으로 홍패(紅牌)라 고도 함.
관직에 있더라도 문과 급제는 큰 영예였음.
이돈상의 시험 답안지, 시권
이돈상의 시험 답안지, 시권
이돈상이 고종 1년(1864) 증광별시문과에 서 갑과
2인으로 급제할 당시의 시험답안지. 붉은 띠에 시험의
종류와 성적이 적혀있음. 인적사항이 적힌
오른쪽 부분은 잘랐다가 다시 실로 묶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행구건기
행구건기
사대부들이 길을 떠나면서 개인이 챙겨야 할 여러 가지
물건을 기록한 문서. 조선시대 사대부의 여행 준비에
필요한 물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 고종 17년(1880)년
이돈상과 그의 아들 이필영(李弼榮)과 관련된 유물로 추측됨.
각게수리
각게수리
여러 개의 서랍이 설치된 일종의 금고. 집안에서는 이재학,
이규현, 이돈상 등의 도장을 보관하고 있었음. 유사한
자료가 운현궁에도 전해짐.
대삼작노리개
대삼작노리개
양반 집안의 혼례나 궁중 의식에 사용하는 화려한 노리개임.
산호가지․옥으로 만든 나비 한 쌍과 밀화(蜜花) 덩어리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비취색 장식이 있는 도금한
금속에 끼워져 있음.
댓글 [2]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 김승우 - 2014.01.17
    유물들이 진짜 멋지네요. 제가 못바서 다시한번 보여주세요.
    • 경기도박물관 - 2014.01.20
      우리 박물관 특별전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용인이씨전은 작년 6월 16일에 막을 내렸으며, 그동안 전시되었었던 유물들은 저희박물관 수장고에서 보관 중에 있습니다.
      용인이씨전에 선보인 유물들은 향후 또다른 뜻깊은 전시로 찾아뵐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전 다음 특별전시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