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테마전 《교과서 돋보기》 4탄–북벌北伐의 파트너, 효종과 이완
기간/ 2016.07.01(금) ~ 2016.08.31(수)
장소/ 경기도박물관 상설전시실 입구

정묘·병자 두 차례의 호란이 조선사회에 던진 충격파는 매우 컸다. 한낱 북방의 오랑캐 정도로 여기던 청에게 당한 치욕적인 패배와 이에 따른 수모는 지배층과 민중에게 커다란 굴욕감을 안겨 주었다. 그 결과 조선에서는 청에 당한 수치를 씻고 복수해야 한다는 북벌론이 사회적 담론으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청나라에 인질로 끌려갔다가 돌아와 왕위에 오른 효종(孝宗, 재위 1649~1659)은 세자시절부터 계획하고 있었던 북벌사업을 실천에 옮기고자 하였다. 그는 이완(李浣, 1602~1674), 원두표(元斗杓, 1593~1664) 등과 함께 산성을 보수하고 군제개혁을 실시하여 군사력 증강에 힘썼다. 이와 함께 군비확충을 위해 대동법을 실시하여 군수 재정도 상당부분 안정적으로 충당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완은 어영대장과 훈련대장을 맡으면서 군사문제에 관한 효종의 자문에 응하고 각종 군제개혁 사업을 주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효종과 그 친위세력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대다수 정치세력의 동의를 얻지 못한 채 추진되었다. 또한 청의 국력이 날로 커지고 흉년과 자연재해가 겹쳐 백성의 부담이 커지면서 북벌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커졌다. 결국 효종은 집권 후반 정국의 주도권을 상실하게 되었고 그 타개책의 일환으로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을 중심으로 한 서인세력과 손을 잡았지만 ‘북벌’에 대한 노선의 차이로 실행되지 못하고 효종의 죽음으로 북벌 계획은 자취를 감추고 만다.

전시된 자료는 이완(李浣, 1602~1674) 장군이 생전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투구와 창으로 경주이씨 구당공파 정익공 중중에서 기증한 유물이다. 철로 된 종형투구 전면 하단에는 당초무늬를 금으로 상감한 얇은 판을 둘러 장식하였다. 투구 상단에는 금으로 상감한 용·연꽃·당초무늬 등을 투각으로 장식하였고, 중심에는 술을 달 수 있는 팔각형의 대가 있다. 창날은 단면이 삼각형이고 한쪽 면에 홈을 파고 금을 입사하였다. 창날과 나무 손잡이 연결부분에는 황동으로 만든 띠를 둘러 장식하였다.

이번 전시는 2016년 8월 31일(수)까지 경기도박물관 상설전시실 입구에 전시된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상설전시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