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알림

스크랩하기
인쇄하기
즐겨찾기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퍼가기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토요강좌 15-충절의 표상, 포은 정몽주
admin - 2013.11.09
조회 5453
2013년 성인교육프로그램 박물관 토요강좌 15 우리 역사에서 충절의 표상으로 널리 알려진 포은 정몽주 선생을 만나는 시간입니다. 그의 당대 행적과 사상, 그리고 시대를 넘어 조선시대에 투영된 영향력과 함께 전설에 내재한 정치역학적 속사정을 풀어 보고자 합니다
강좌 개요
일 시
2013. 11. 9(토) 14:00~16:00
장 소
회의실
주 제
충절의 표상, 포은 정몽주
강 사
김성환 (학예팀장, 학예연구관)
수 강 료
무료(홈페이지에서 수강 신청 접수중)
진 행
이번 토요강좌는 우리 역사에서 충절의 표상으로 널리 알려진 포은 정몽주 선생을 만나는 시간입니다. 조선 건국을 반대하다가 죽음을 당하였으나 조선을 세워 이끌어간 주도 세력들에게 널리 숭앙을 받은 포은 선생, 그의 장례 행렬이 개성에서 고향인 경상도 영천을 향해 가던 중 용인 풍덕천에 이르러 관을 덮고 있던 명정(銘旌)이 바람에 날려 현재 묘소의 자리에 떨어져 그곳에 장례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오기도 합니다. 그의 당대 행적과 사상, 그리고 시대를 넘어 조선시대에 투영된 영향력과 함께 전설에 내재한 정치역학적 속사정을 풀어 보고자 합니다.

※강좌 당일 현장에서 수강을 원하시는 분들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충절의 표상, 포은 정몽주

1517년(중종 12) 성균관 유생들이 “문충공 정몽주는 충효(忠孝)로 큰 절개를 떨쳤고, 그는 우리나라 성리학의 시조로, 유학에 공로가 매우 많으니 문묘(文廟)에 배향할 것”을 청하여 왕께서 윤허하시어 그해 9월 17일에 문묘의 서쪽 건물에서 문창후 최치원의 곁에 배향하게 됩니다. 또 묘소를 수리하고 묘표(墓表)를 세우는 한편 땔나무를 하거나 가축을 키우지 못하도록 하라는 왕명이 있기도 하지요. 그 관직을 써 내려가는데 ‘고려(高麗)’를 쓰지 않고 ‘문충공(文忠公)’이라고 쓴 것은 대개 공(公)이 다른 두 성씨(姓氏)를 섬기지 않았다는 본래의 뜻을 밝히려고 한 것입니다. 공(公)의 평생과 사적(事蹟)은 《고려사(高麗史)》 열전(列傳)에 갖추어져 있습니다.
위의 글은 500년 전인 1517년, 포은 정몽주 선생의 묘 앞에 세운 묘표(墓表) 내용의 전부를 보여주는 것으로, 선생은 우리나라 충절의 대표적인 역사위인이자 경기도 역사문화의 중심인물입니다. 고려에 충성을 다하고 조선 건국에 반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충절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모범이 되었지요. 언뜻 잘 이해가 되지 않기도 합니다. 묘소가 용인시에서 광주시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는데, 선죽교에서 암살당한 후에 개성에서 고향인 영천으로 가던 상여가 풍덕천에 이르러 멈추고 가지 않고 관을 덮고 있던 명정이 바람에 날려 현재 묘소의 자리에 떨어져 그곳에 장례하였다는 전설로도 유명하지요. 과연 그럴까요?
이런 역설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그 전모에 대해 파헤쳐 보겠습니다.

* 11월 23일(토)의 강좌 주제는 ‘세계무형유산, 아리랑’ 입니다.

● 문의전화 : 031-288-5351(박물관 학예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댓글 [0]
댓글달기
댓글을 입력하려면 로그인 이 필요합니다.
이전 다음 공지&알림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확인